홈으로 돌아가기








닥터스 전자차트 주치의 업무 자동화 코딩 교육
“닥터스 전자차트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는 방법을, 코딩 경험이 없어도 ChatGPT를 활용해 직접 배워보는 1일 실습형 교육입니다.”

🩺⚙️ 반복되는 차트 업무, 직접 자동화해서 시간을 아껴보세요!
요양병원에서 닥터스 전자차트를 사용하다 보면 끝없는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클릭에 지칠 때가 많습니다. 그래서 저는 몇 년 전부터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고,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활용해왔습니다.
“나도 직접 만들어서 쓸 수 있을까?” 하는 분들을 위해, 바이브 코딩(Vibe Coding) 방식으로, 코딩 경험이 없어도 의사들이 스스로 ChatGPT를 이용해 자동화 도구를 만드는 1일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.

💡 교육 포인트
- 강사가 개발해서 사용하고 있는
닥터스 주치의 업무 자동화 앱
제공 닥터스 주치의 업무 자동화 앱
을 본인의 전자차트에 맞게 커스터마이즈- 코딩 경험 없어도 가능! → ChatGPT를 활용한 바이브 코딩(Vibe Coding) 방식
👨💻 강사
-
곽상준 (아미나요양병원 진료원장)
기술 및 자격증
- 의사 | 한의사
- 컴퓨터공학 독학사
- 리눅스마스터 1급
- 데이터분석준전문가(ADsP)
- 정보처리기사
- SQL개발자(SQLD)
🤖 프로그램 개요
- 대상: 닥터스 전자차트를 사용하는 요양병원·한방병원·중소병원 주치의
- 핵심 목적: 반복 입력과 문서 작업을 자동화해 시간을 절약하고 진료 및 의사결정에 시간을 더 할당
- 기술 기반: AutoHotkey(윈도우 자동화) + 파이썬 도구 → 설치형 앱으로 제공
- 방식: 실습 위주(내 노트북에서 바로 작동하도록 설정)
✅ 출력물 중심: 교육이 끝나면 나만의 자동화 버튼/단축키가 실제로 돌아갑니다.
🚀 무엇을 자동화하나요? (핵심 시나리오)
- 비급여 처방 소견서 자동작성
- 환자 이름·기간만 넣으면 DB에서 처방을 읽어 표준 문구 자동 생성 → 소견서 양식에 즉시 붙여넣기.
- 환경설정 창에서 처방별 문구를 병원 상황에 맞게 손쉽게 커스터마이즈.
- 문구 생성 방식 : 초진차트 현병력 + 비급여 처방 사유 + 처방별 근거 형태로 문구 생성
- 강사가 작성하는 초진차트 현병력 구조: 상기환자 [진단명] [암치료 병원] [치료력 정리] [현재 치료] [증상] 치료 위해 입원




- 회진차트 PDF 만들기 → 클라우드 저장소 동기화 → 스마트폰으로 참고하며 회진 및 필기
- 닥터스 전자차트의 Progress Note 중 Memo 란은 데이터가 누적되어 관리되므로 입원 환자의 정보를 정리해놓고 참고하기 좋습니다.
- Memo 란의 정보를 DB에서 읽어 입원 환자 별로 처방약, 자가약과 함께 PDF로 만들어 쉽게 참고하고 필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.
닥터스 주치의 업무 자동화 앱
은 Memo 란에 정보를 집중시켜 관리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었습니다.



- 퇴원요약지 자동 생성
- 현재 열린 차트의 환자 정보로 DB 조회 → 지정일을 퇴원일로 채워 요약지 완성.


- 반복 처방 일괄 입력
- 비침습무통증신호요법, 고주파 온열치료 등 동일 처방을 환자 명단 붙여넣기 → 일괄 입력.
- 키 입력·클릭 수 급감 → 오류율 저하.


- 자가약 입력 정리
- 간호사가 예비 입력한 자가약 기록 중 불필요 항목 일괄 정리 → 반복 삭제 작업 제거.
- PRN 처방 마감일자 대량 정리
- 여러 항목의 마감일자 복붙 자동화 → 키보드·마우스 작업량 대폭 축소.
- 메신저 단축 문구
- 병원 메신저 자주 쓰는 문구를 단축키로 등록 → 커뮤니케이션 속도·정확도 향상.

- 혈액검사 결과 자동 수집 → 텍스트 변환
- KCL 임상검사 수탁기관 웹에서 결과를 날짜/주치의 기준으로 자동 수집·정렬 → 텍스트로 열기 후 차트에 빠르게 붙여넣기.
- 모든 수탁기관 웹의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웹사이트 구조가 모두 다르기때문에 개별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.


🖥 사용 방법 한눈에 보기
- 앱 실행: 차트 PC에서
닥터스 주치의 업무 자동화 앱
실행. - 차트 확인: 자동화할 환자의 닥터스 EMR 창이 열린 상태인지 확인.
- 정보 입력: 앱 입력창에 환자정보/기간을 넣고 해당 버튼 클릭.
- 미리보기 & 붙여넣기: 생성 문구 확인 후 붙여넣기로 소견서/요약지 완성.
- 다른 기능 활용: 퇴원요약지·반복 처방·검사결과 수집 등 상황별 버튼 사용.
🔎 처음엔 테스트 환자로! 동작을 익힌 뒤 실제 환자에 적용하세요. 문제 발생 시 닫기 또는
Ctrl + Q
로 즉시 종료 가능합니다.
📈 도입 효과 (현장 체감 포인트)
- 시간 절감: 문서·입력 반복 업무 대폭 축소 → 상담·의사결정에 재투자
- 품질 향상: 표준 문구로 오타·누락 감소, 차트 일관성 강화
- 팀워크 개선: 병동·원무과와 커뮤니케이션 속도/정확도 향상
- 피로도 감소: 번아웃 유발 작업을 앱에 위임 → 업무 만족도 상승
- 원무 지원: 비급여 처방 소견서 작성 시 자료 탐색 부담 경감
🔧 작동 구조 & 설정
- 직관 UI: 기능별 버튼 제공 → 클릭 중심 실행
- 최소 입력, 최대 자동: 환자 이름·기간·명단 정도만 입력하면 나머지 자동 처리
- 유연 설정: 소견서 문구·단축 문구·단축키·DB 연결정보를 설정 파일에서 간단 변경






🛡️ 안전 사용 가이드: 교육·테스트 단계에서는 백업을 받아 복제한 DB로 실습합니다. 실무 적용 전 각 기관의 보안·개인정보 지침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🎓 함께 학습하기: 코딩 교육 안내
내 병원 업무에 맞게 직접 확장하는 방법까지 다룹니다. 실습 중심으로, 교육 종료 시점에 작동하는 결과물을 갖도록 합니다.
- 참여 의사 조사
- 오리엔테이션 & 환경 설정
-
AutoHotkey·Python 실행환경 설치
-
닥터스 차트 MS SQL 백업으로 로컬 DB 복제·연결
-
실습 도구 빠른 소개
-
필수 준비물
- 인터넷 사용 가능한 윈도우 노트북(DB 백업 크기에 따른 충분한 디스크 용량 권장)
- 닥터스 차트 MS-SQL 백업 파일
- 처방명 목록, 병원 처방코드 및 처방명의 소견서 문구
-
개발 도구
- Autohotkey v1.1(윈도우 매크로 스크립트 언어)
- Window Spy(닥터스 차트의 좌표, 창의 정보 등을 찾아볼 수 있는 Autohotkey 용 도구)
- Python(파이썬 코딩 언어)
- github 및 github desktop(코드 저장소)
- ChatGPT(인공지능 코딩 도우미, 유료 미리 가입 월 29,000원 Plus 요금제)
- Visual Studio Code(코드 편집기)
- ScieTE4 Autohotkey(코드 편집기)
-
DB 실습 도구
- Docker (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축)
- MS-SQL Server (데이터베이스 서버)
- DBeaver community (데이터베이스 조회)
- 자동화 이해
닥터스 주치의 업무 자동화 앱
핵심 기능·흐름 해부- 버튼·핫키 ↔ 파이썬 도구 연계 구조 실습
- AutoHotkey 필수 문법 핵심만 빠르게
- 나만의 자동화 만들기
- 각자 진료의 반복 업무를 정의→설계→구현
- 문구/단축키/흐름을 병원 상황에 맞게 커스터마이즈
- 공유 & 피드백
- 개인 노트북의 로컬 DB와 앱을 연결해 실행 테스트
- 서로 결과물을 시연하고 개선 아이디어를 교환
❓ FAQ (요약)
- Q. 코딩 처음인데 가능할까요?
A. 가능합니다. 기본 앱은 제공해 드리고 환경 설정 후 사용가능합니다. 시스템 차이로 인한 문제나 맞춤형 기능은 바이브 코딩 방식으로 ChatGPT에게 한글로 코딩을 시킬 수 있습니다. - Q. 우리 병원 상황에 맞게 수정이 되나요?
A. 예. 설정 파일과 스크립트 템플릿으로 손쉽게 커스터마이즈 가능합니다. 단, 요양병원용 닥터스 전자차트에 한합니다. - Q. 개인정보/보안은 괜찮나요?
A. 교육 중엔 백업해 오신 것을 복제한 로컬 DB로 실습하고, 실무 적용 전 병원 가이드 준수 점검을 권장합니다. - Q. 소견서 문구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인가요? 아니면 그렇게 할 수 있나요?
A. 아니오. 인공지능 서비스 업체의 API를 활용하면 자동 생성이 가능하긴 합니다. 그러나 소견서는 잘못 작성될 경우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, AI의 특성상 환각(hallucination) 문제가 있어 그대로 활용하기는 위험합니다. 따라서 주치의가 직접 작성한 차트 내용과 사전에 미리 설정한 소견서 문구를 기반으로 조합하는 방식을 개발하여 안전성과 정확성을 확보하였습니다.
📅 향후 계획
- 관심자 모집 → 첫 교육 일정 확정 → 개별 연락
- 소수 정예(5–10명), 일요일 하루(약 6시간, 추후 확정) 진행 예정
📬 문의/협업: 수요조사에 연락처를 남겨주세요. 일정 확정 시 개별 안내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