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타민 C 정맥 주사 투여 방법

이 가이드는 비타민 C 정맥 주사의 안전한 준비, 투여 및 치료 후 관리를 위한 절차를 설명합니다.

비타민 C 정맥주사(IVC) 치료는 환자의 면역 지원, 암 환자의 보조적 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 본 가이드는 임상 환경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비타민 C 정맥주사 투여 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.

1. 사전 검사 및 준비

1.1 환자 평가 및 동의서

  • 환자의 기초 검사로 G6PD 수치, 신장 기능(크레아티닌, eGFR), 칼슘, CRP, 전혈구수(CBC) 등을 실시합니다.
  • G6PD 결핍 여부는 25g 이상의 비타민 C 투여 전 확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
  • 환자에게 비타민 C 치료의 효과, 부작용 및 기대 결과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서면 동의서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.

1.2 치료 계획 수립

  • 환자의 건강 상태, 과거 병력 및 현재 복용 중인 약물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.
  • 첫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15-25g의 비타민 C를 사용합니다. 이후 용량은 환자의 반응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

2. 비타민 C 정맥 주사 준비 및 투여

2.1 비타민C 수액 준비

  • 비타민 C 주사액은 **비타민 C(500mg/mL)**를 사용합니다.
  • 수액 캐리어로는 0.9% 생리식염수, 멸균 주사용수(증류수)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비타민C 투여 용량에 따라 적절한 수액 용량 크기를 선택합니다.
  • 글루콘산 칼슘(선택적 첨가물): 이전에 저칼슘혈증 증상이 있었던 환자의 경우, 50g 이상의 비타민 C 투여 시 글루콘산 칼슘 10% 1g/10mL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

2.1.1 주사액 조제 방법

  1. 준비물 확인: 비타민 C, 수액 캐리어(생리식염수, 멸균 주사용수), 주사기, 주입 세트, 멸균된 장갑을 준비합니다.
  2. 위생 관리: 멸균된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 환경을 청결히 유지합니다. 주사 준비 과정에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장비와 재료가 멸균 상태인지 확인합니다.
  3. 비타민 C 용량 측정: 비타민 C의 필요 용량을 주사기에 정확히 측정하여 추출합니다. 일반적으로 첫 치료에는 15-25g의 비타민 C를 사용합니다.
  4. 수액 캐리어와 혼합: 선택한 수액 캐리어(예: 생리식염수 250mL)에 측정한 비타민 C를 추가합니다. 이때, 수액 백에 주사액이 고르게 섞이도록 충분히 흔들어 줍니다.
  5. 글루콘산 칼슘 추가(선택적): 저칼슘혈증 위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, 글루콘산 칼슘 10% 1g/10mL를 수액에 추가합니다.
  6. 주입 준비: 주사액이 준비되면, 주입 세트를 수액 백에 연결하고 공기를 제거한 후 주입 준비를 완료합니다.

2.2 비타민 C 수액 구성과 특징

2.2.1 대한임상암대사의학회 2019 한국형 비타민C 정맥주사 프로토콜

비타민 C 투여량사용 수액남은 수액양10% MgSO4총 수액양 (최종 수액양)최종 오스몰 농도(mOsm/L)투여속도(초당 방울수)총 투여시간분당 투여량
20g (40cc)생리식염수 250cc250cc2cc292cc9912 dps50분0.4g/분
40g (80cc)증류수 500cc440cc4cc524cc8193 dps60분0.7g/분
60g (120cc)증류수 1000cc880cc6cc1006cc6403 dps110분0.6g/분
70g (140cc)증류수 1000cc880cc7cc1027cc7313 dps110분0.6g/분
80g (160cc)증류수 1000cc880cc8cc1048cc8163 dps120분0.7g/분
90g (180cc)증류수 1000cc900cc9cc1089cc8863 dps120분0.8g/분
100g (200cc)증류수 1000cc900cc10cc1110cc9662.5 dps150분0.7g/분

2.2.2 2025년 증류수를 이용한 비타민C 정맥주사 프로토콜

비타민 C 투여량사용 수액남은 수액량10% MgSO4총 수액량 (최종 수액량)최종 오스몰 농도(mOsm/L)투여속도(초당 방울수)총 투여시간분당 투여량
10g (20 mL)SW 200 mL200 mL1 mL221 mL4852 dps37분0.25g/분
20g (40 mL)SW 200 mL200 mL2 mL242 mL8862 dps40분0.33g/분
30g (60 mL)SW 400 mL400 mL3 mL463 mL6952 dps77분0.38g/분
40g (80 mL)SW 400 mL400 mL4 mL484 mL8862 dps80분0.5g/분
50g (100 mL)SW 400 mL400 mL5 mL505 mL10622 dps84분0.6g/분
60g (120 mL)SW 800 mL800 mL6 mL926 mL6953 dps103분0.6g/분
70g (140 mL)SW 800 mL800 mL7 mL947 mL7933 dps105분0.7g/분
80g (160 mL)SW 800 mL800 mL8 mL968 mL8863 dps108분0.7g/분
90g (180 mL)SW 800 mL800 mL9 mL989 mL9763 dps110분0.8g/분
100g (200 mL)SW 800 mL800 mL10 mL1010 mL10622.5 dps135분0.7g/분

2.2.3 2025년 증류수를 이용한 비타민C 정맥주사 프로토콜(미국 리오단클리닉 프로토콜 Mg 용량과 동일한 구성)

비타민 C 투여량사용 수액남은 수액량10% MgSO4총 수액량 (최종 수액량)최종 오스몰 농도(mOsm/L)투여속도(초당 방울수)총 투여시간분당 투여량
10g (20 mL)SW 200 mL200 mL2.5 mL222.5 mL4852 dps37분0.25g/분
20g (40 mL)SW 200 mL200 mL2.5 mL242.5 mL8852 dps40분0.33g/분
30g (60 mL)SW 400 mL400 mL2.5 mL462.5 mL6952 dps77분0.38g/분
40g (80 mL)SW 400 mL400 mL2.5 mL482.5 mL8882 dps80분0.5g/분
50g (100 mL)SW 400 mL400 mL5 mL505 mL10622 dps84분0.6g/분
60g (120 mL)SW 800 mL800 mL5 mL925 mL6953 dps103분0.6g/분
70g (140 mL)SW 800 mL800 mL5 mL945 mL7933 dps105분0.7g/분
80g (160 mL)SW 800 mL800 mL5 mL965 mL8883 dps107분0.7g/분
90g (180 mL)SW 800 mL800 mL5 mL985 mL9763 dps110분0.75g/분
100g (200 mL)SW 800 mL800 mL5 mL1005 mL10622.5 dps135분0.7g/분

2.3 투여 방법

  • 주사 속도: 천천히 시작하여 부작용 여부를 관찰하며 조절합니다. 첫 투여는 일반적으로 60분에서 90분에 걸쳐 천천히 투여합니다.
  • 환자 관찰: 투여 중 및 투여 후 환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찰하며, 탈수 예방을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합니다.
  • 안전 고려사항: 비타민 C 고용량 투여 시 환자의 혈압, 심박수, 산소포화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이상 반응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
3. 치료 후 관리

3.1 부작용 및 관리

  • 일반적인 부작용: 갈증, 저혈당, 근육 경련, 두통, 주사 부위 통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. 탈수를 예방하고, 필요 시 칼슘/마그네슘 음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
  • 혈당 측정 주의사항: 비타민 C 주사 후 8-10시간 동안은 말초 혈액을 이용한 혈당 측정기 검사가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,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.
  • 신장 기능 모니터링: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때 고용량 비타민 C 투여는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이 있어, 신장 기능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도록 환자에게 안내합니다.

3.2 추가 치료 및 모니터링

  • 치료 검토: 2주, 6주, 3개월, 6개월 간격으로 치료 효과를 평가하며, 필요에 따라 치료 계획을 수정합니다.
  • 혈액 검사: 신장 기능 및 혈액 내 비타민 C 농도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용량을 조절합니다. 또한, 전해질 농도도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부작용을 예방합니다.

4. 주의사항

  • G6PD 결핍 환자: 용량은 25g 이하로 제한하며, 적어도 24시간 간격으로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.
  • 신장 결석 병력: 임상 경험상 일반 환자에 비해 신장 결석 과거력이 있는 환자의 신장 결석 발생률이 증가하지 않지만, 비타민C 정맥주사 투여 전에 위험에 대해 상담이 필요합니다. 투여하기로 했다면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합니다.
  • 항암 치료와의 상호작용: 항암 화학 요법과 같은 날에 고용량 비타민C 정맥주사를 투여하거나 방사선치료와 병행하여 고용량 비타민C 정맥주사를 시행한 임상시험 연구 보고가 있습니다. 하지만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와 함께 사용할 경우, 주치의와 충분히 상의한 후 진행해야 합니다.

이 가이드는 비타민 C 정맥 주사 치료를 임상에서 안전하게 적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의사는 각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, 비타민 C 주사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. 환자의 병력, 현재 상태, 신장 기능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부작용 예방과 관리, 위생 관리 등 중요한 요소들을 포함하여 의료진이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의료 정보 안내문:

이 문서의 정보는 의료 전문가의 참고용입니다. 특정 환자에게 적용되는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하지 않으며, 주치의와 충분히 상의 후 사용해야 합니다.